
Mac, iOS, Android, Linux, Windows 등등.. 우리는 수 많은 OS가 존재하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당연하게도, 내가 만든 Appliccation이 최대한 다양한 환경에서 돌아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Flutter, Xamarin, MAUI, Electron, ReactNative 등등..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게 하기위한 기술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지금은 바야흐로 대 멀티 플랫폼의 시대. 수 많은 선택지 중 Blazor + Electron.NET을 이용해보기로 하였다. (이미 Blazor를 이용한 웹앱을 만들어 본 경험이 있기 때문) [ 사전 준비 ] 1. Blazor 웹앱을 만드는 방법은 공식문서에 다양한 튜토리얼이 있으므로, 그 과정은 생략함. 2. Blazor WebAss..

Google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OAuth를 연동하는 법은 많이 나와 있지만.. Blazor Server에 적용하는 법은 자료가 많이 없다. 정답을 찾기보다는 OAuth 매커니즘 자체를 이해하고, Google의 라이브러리가 지원하는지를 확인하는 게 빠르다. OAuth는 표준기술이기 때문에 큰 맥락의 매커니즘은 동일하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Google OAuth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간략한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특정 앱에 대한 접근 권한과 식별을 위해 ClientID와 ClientSecret 취득 OAuth 서버에 ClientID와 ClientSecret으로 Code 취득 Code와 ClientSecret으로 실제 인증과 권한 획득에 사용할 AccessToken과 RefreshToken..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