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P.NET Core로 웹 사이트를 제작 후 테스트는 IIS Express로 로컬에서 서버를 올려서 진행하게 된다.만약 해당 웹 사이트를 모바일과 같은 로컬이 아닌 외부 기기에서 접근해야 한다면 아이피를 이용해야한다.(로컬 pc와 동일한 네트워크망을 사용한다는 가정하에) 아래 순서에 따라 셋팅을 해주면 외부 기기에서 로컬에서 올린 서버로 내부 아이피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다. 1. applicationhost.config 파일 수정- 솔루션 폴더\.vs\프로젝트명\config\applicationhost.config 파일 실행- 해당 파일은 xml로 구성되어 있는데, 태그의 name 속성이 프로젝트명으로 되어있는 태그로 이동- 태그의 하위로 있는 태그의 bindingInformation 속성 값 ..

Mac, iOS, Android, Linux, Windows 등등.. 우리는 수 많은 OS가 존재하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당연하게도, 내가 만든 Appliccation이 최대한 다양한 환경에서 돌아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Flutter, Xamarin, MAUI, Electron, ReactNative 등등..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게 하기위한 기술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지금은 바야흐로 대 멀티 플랫폼의 시대. 수 많은 선택지 중 Blazor + Electron.NET을 이용해보기로 하였다. (이미 Blazor를 이용한 웹앱을 만들어 본 경험이 있기 때문) [ 사전 준비 ] 1. Blazor 웹앱을 만드는 방법은 공식문서에 다양한 튜토리얼이 있으므로, 그 과정은 생략함. 2. Blazor WebAss..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