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op TABLE "APEX$_WS_FILES" cascade constraints ; drop TABLE "APEX$_WS_HISTORY" cascade constraints ; drop TABLE "APEX$_WS_LINKS" cascade constraints ; drop TABLE "APEX$_WS_NOTES" cascade constraints ; drop TABLE "APEX$_WS_ROWS" cascade constraints ; drop TABLE "APEX$_WS_TAGS" cascade constraints ; drop TABLE "APEX$_WS_WEBPG_SECTIONS" cascade constraints ; drop TABLE "APEX$_WS_WEBPG_SECTION_HIST..
mybatis는 xml로 sql을 관리하고 있는데 보통 조금 바꿀때 마다 서버를 재구동 시켜야 된다. 시스템이 클 경우 재시작시 오랜 시간이 걸리고 session 사용시 또 로그인을 해야 하는 등 개발의 흐름이 끊어지는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SqlSessionFactoryBean 클래스를 커스터 마이징 하는 방법으로 해결 가능한 글을 보아서 기록한다. [ 출처 및 페이지 이동 ] http://blog.sbcoba.com/16
1. RESTful 이란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를 의미하도록 설계 한다는 의미 이다. 기존 : http://simpleBoard.com/sports.htmll?category=baseball 변경 : http://simpleBoard.com/sports/baseball 2. 기존 GET, POST 방식 외에 PUT, DELETE 방식이 추가된다. Create : POST Read : GET Update : PUT Delete : DELETE 3. PUT, DELETE는 form요소에서 정식으로 지원되지 않으므로 아래와 같이 해야 한다. ※ servlet.xml 에서는 PUT, DELETE를 인식 할 수 있도록 filter를 등록 method org.springframework.web.fil..
[ Spring Legacy Project 로 생성방식 바로가기 ] http://vip00112.tistory.com/27 - Spring Framework로 개발을 하기 위한 project 생성 방법 1. 좌측 Project Explorer - 마우스 우클릭 - New - Project 클릭 2. Web - Dynamic Web Project 선택 후 Next 버튼 클릭 3. Project Name 입력 후 Next 버튼 클릭 4. Next 버튼 클릭 5. Context root를 " / " 로 변경, Generate web.xml deployment descriptor 체크 후 Finish 버튼 클릭 6. Project를 Spring 환경으로 변경 1) Project 우클릭 - Spring Tools..
Tomcat 환경 구축 후 서버 설정 1. 하단 Server 탭 클릭 후 No Server are available. Click this link to create a new server.. 링크 클릭 2. 다운받은 Tomcat 버전과 동일한 버전을 선택 후 Finish 버튼 클릭 3. 좌측 Project Explorer와 하단 Server 탭에 제대로 등록 되었는지 확인 4. 하단 Server 탭에서 등록된 서버 마우스 우클릭 - Open 클릭 5. User Tomcat Installation 선택 후 Deploy Path의 Browse 버튼 클릭 6. workspace에 압축 풀어둔 Tomcat 폴더 경로 선택 후 확인 버튼 클릭 7. (선택 사항) Oracle등 외부 프로그램이 8080포트 번호를 ..
java로 이클립스에서 Tomcat 환경 구축 순서 1. http://tomcat.apache.org 으로 접속하여 사용할 버전과 OS버전에 맞는 파일 다운로드 2. 다운로드 후 workspace에 압축 풀기 3. Windows - Preferences - Server - RunTime Environments 에서 Add 버튼 클릭 4. 1번에서 다운 받은 Tomcat 버전과 동일한 버전 선택 후 Next 버튼 클릭 5. Browse 버튼 클릭 6. 2번에서 압축 해제한 Tomcat 경로 선택 후 확인 버튼 클릭 7. 경로가 제대로 들어 왔다면 Finish 버튼 클릭 8. 설정한 Tomcat이 제대로 Add 됐다면 OK 버튼 클릭
1. Git Shell.exe 실행 2. cd 폴더명 - 해당 폴더의 git 프로젝트로 이동 3. git add * - 변경된 모든 폴더 및 파일 적용 4. git commit -m "메시지" - add된 폴더 및 파일을 commit 5. git push - commit된 내용을 github에 반영 ======================================================== ※ 커맨드를 찾을 수 없다고 오류가 나올 경우 -> GitShell 종료 -> Github Window 실행 -> Github Window를 통한 GitShell 실행
ListView Colum 클릭시 정렬 자체는 간단하지만 기본적으로 문자로 인식하고 정렬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ex) 1, 2, 3, 10, 100 -> 1, 10, 100, 2, 3 매번 필요할때마다 찾고 코드를 추가하기 귀찮아서 dll파일로 만들어서 github에 올려둠. Github : github.com/vip00112/ListViewColumSortDLL [전체 코드] public class ItemSort { /// /// ListView ColumnClick 함수 내에서 클릭 /// 최초 클릭시 오름차순(ASC) 정렬 됨 /// /// 정렬할 ListView 객체 /// ColumnClick Event의 이벤트 객체 /// 숫자형 정렬 여부 public static ..
매개인자 전달시 out 또는 ref 키워드와 함께 전달하면 call by reference처럼 변경된 값을 다시 되돌려 받을 수 있다. out과 ref 키워드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정리 해둔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0; int b; // out 인자로 쓰일 변수는 초기화 하지 않아도 가능 RefTest(ref a); OutTest(out b); // ref와 out둘다 전달한 인자값을 돌려 받는다. Console.WriteLine("a in Main : " + a); // 6 Console.WriteLine("b in Main : " + b); // 3 Console.WriteLine("\n\nPress \"Enter\" key..."); Consol..
- Total
- Today
- Yesterday